-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피임약 먹으면 운동 효과 떨어질까?
매달 반복되는 생리와 매일 챙겨 먹는 피임약. 여성이라면 이런 생각,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오늘 같은 날 운동하면 과연 효과가 있을까?" 혹은 "혹시 피임약이 근육 운동에 방해가 되는 건 아닐까?" 이처럼 생리주기나 피임약 복용이 운동 효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궁금했던 분들을 위해, 과학계가 명확한 해답을 내놓았습니다.
최근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교(McMaster University) 운동대사연구소(Exercise Metabolism Research Group)를 포함한 국제 공동 연구진은, 2세대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의 근육 단백질 반응이 피임약 복용 시기와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피임약을 복용 중이든, 위약 기간이든 관계없이 여성의 몸은 운동에 충분히 잘 반응한다는 의미입니다.
연구 설계: 어떻게 실험했을까?
연구는 18세에서 30세 사이의 건강한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참가자들은 각각 피임약 복용 중인 시기(활성기)와 복용을 중단한 시기(비활성기)에 저항성 운동을 수행했고, 연구진은 이때 근육 반응을 비교 분석했습니다.
근육 단백질 합성률(MPS)과 단백질 분해율(MPB)은 동위원소 추적과 근육 생체검사 방식으로 정밀하게 측정됐습니다.
운동 효과, 실제 수치는 어땠을까?
다음 표는 피임약 복용 주기별로, 운동 여부에 따른 근육 단백질 합성률(MPS)을 비교한 수치입니다.
구분 | 운동 안 한 다리 | 운동한 다리 |
---|---|---|
활성기 | 1.44%/day | 1.64%/day |
비활성기 | 1.49%/day | 1.71%/day |
모든 시기에서 운동한 쪽의 MPS가 높게 나타났으며, 피임약 복용 시기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전문가가 말하는 핵심 포인트
연구를 이끈 스튜어트 필립스(Stuart Phillips) 박사는 “이번 결과는 여성의 생리주기나 피임약 복용 여부가 운동 효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운동 계획을 세울 때 굳이 생리주기를 고려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여성 운동 루틴, 이렇게 바꿔보세요
생리 기간이든 피임약 복용 중이든, 마음 놓고 운동하세요. 근육은 잘 반응합니다. 중요한 건 일정보다 ‘지속성’입니다. 운동 루틴을 꾸준히 지켜가는 것이 핵심입니다.
여성 대상 운동 연구의 중요성도 이번 연구를 통해 더욱 강조됐습니다. 기존에는 피임약이 운동 효과를 떨어뜨린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이번 연구는 과학적으로 그 우려를 반박했습니다.
생리 기간에도 운동을 해보신 적 있나요? 혹은 피임약을 복용하면서 느꼈던 신체 변화가 있으신가요? 댓글로 여러분의 경험을 나눠주세요."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 잔 값이라도 후원해 주시면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데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후원계좌 : 카카오뱅크 3333-03-6432329 (예금주: 김종일)
본 콘텐츠의 무단 복제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